미국 기술주에 관심이 많지만, 개별 종목은 변동성이 너무 커서 부담된다면?
그럴 때 좋은 대안이 바로 ETF입니다. 특히 인터넷 산업에 집중된 ETF를 찾고 있다면 FDN ETF를 눈여겨볼 만해요.
오늘은 FDN ETF가 어떤 상품인지, 어떤 종목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수익률은 어떤지 등을 자세히 살펴볼게요.
투자하기 전 같이 보면 좋은 종목
FDN ETF란?
FDN은 First Trust Dow Jones Internet Index Fund의 약자로, 이름 그대로 다우존스 인터넷 지수를 추종하는 ETF예요.
인터넷과 관련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미국 기업들에 분산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요.
대표적인 성장주 중심의 ETF이며, 나스닥 기술주의 흐름을 따라가는 경향이 강해요.
기초 지수와 운용사
- 기초 지수: Dow Jones Internet Composite Index
- 운용사: First Trust (미국 기반 ETF 전문 운용사)
- 티커: FDN
- 상장 시장: NYSE Arca
이 지수는 미국에서 인터넷 기반 수익이 50% 이상인 기업들로 구성돼 있어요. 즉, 실질적인 인터넷 중심 기업들 위주로 담겨 있다는 뜻이에요.
FDN ETF 구성 종목
FDN은 약 40개 내외의 종목에 분산 투자하고 있으며, 상위 종목 비중이 꽤 높은 편이에요. 2024년 기준 주요 구성 종목은 아래와 같아요.
- Amazon.com (AMZN)
- Meta Platforms (META)
- Alphabet (GOOGL)
- Netflix (NFLX)
- Salesforce (CRM)
- Uber Technologies
- Shopify
즉, 우리가 익숙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부분 플랫폼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회사들이에요.
장점과 단점 정리
장점
- 인터넷 산업에 집중 투자 가능
- 우량 빅테크 중심 구성으로 안정적
- 나스닥 기술주 흐름을 따라가는 트렌디한 ETF
단점
- 상위 몇 개 종목 비중이 높아 집중도 있음
- 성장 섹터 중심이라 경기 민감도 큼
- 배당 수익률은 낮은 편
장기적인 성장을 노린다면 장점이 더 크지만, 단기적 등락에는 어느 정도 대비가 필요하겠죠.
수익률과 변동성
FDN ETF는 지난 10년 동안 시장 평균을 웃도는 수익률을 보여줬어요. 특히 코로나 이후 기술주 랠리 시기에 크게 상승했죠.
하지만 2022년 이후 금리 인상 여파로 다소 조정되었고, 최근에는 다시 반등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어요.
연평균 수익률 참고 (과거 기준)
- 3년 수익률: 약 10~12%
- 5년 수익률: 약 13~15%
- 10년 수익률: 약 15% 이상
※ 실제 수익률은 매매 시점에 따라 다르며, 위 수치는 참고용이에요.
수수료와 세금
- 운용보수(Expense Ratio): 0.51% (비교적 높은 편)
- 미국 상장 ETF이므로 배당세 15% 원천징수
- 국내 증권사 통해 매수 시 매도 차익에 대한 세금은 발생하지 않음
수수료가 살짝 높은 게 단점일 수 있지만, 구성 종목의 성장성을 고려하면 납득 가능한 수준이에요.
누구에게 추천할까?
FDN ETF는 다음과 같은 분들에게 잘 맞는 ETF예요.
- 미국 인터넷 산업에 집중 투자하고 싶은 분
- 빅테크 위주의 안정적인 성장주 ETF를 찾는 분
- 개별 종목 리스크는 피하고 싶지만, 기술주 흐름은 따라가고 싶은 분
단기 매매보다는 중장기 성장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추천드려요.
마무리하며
ETF 투자는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분산 효과를 누릴 수 있어서 정말 매력적이에요.
그 중에서도 FDN ETF는 인터넷 기반 비즈니스에 집중한 전략형 ETF로, 꾸준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대표 상품 중 하나예요.
기술 산업의 성장과 함께 가고 싶다면, 포트폴리오에 FDN을 한 자리 넣어보는 것도 괜찮은 선택일 수 있겠죠.